미들웨어란...?
미들웨어(middleware)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프로그램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거나 연합시켜주는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용어로 마치 "접착제"와 같은 존재를 말한다.
미들웨어의 대표적인 기능은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작성된 프로그램이
다른 데이터베이스에도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 미들웨어가 이용되는 경우의 예를 보면, 데이터베이스와 웹서버를
연결시켜주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웹브라우저에 양식을 띄워놓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찾아올 수 있게 하거나, 사용자의 요청 내용에 따라 다이내믹 페이지를
나타낼 수 있게 해주기도 한다.
이것은 예전의 2tier구조에서 3tier, N tier로의 발전에 중추가 된다.
예를들어 웹서버은 http, asp, php, cgi, jsp등의 인터페이스만을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클라이언트의 질의등은 컨테이너라고도 하는 미들웨어의 웹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요청이 오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로드를 발란싱하기도하고 클러스터링하고
여러 로드 분산개념을 적용하며 최종 데이타베이스 서버에 자료를 요청한다.
(살짝 어려운 내용 ㅠㅠ)
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는 미들웨어가 중간 계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미들웨어의 부류에는
TP monitors
DCE environments
RPC systems
Object Request Brokers (ORBs)
Database access systems
Message Passing
등이 있습니다. 미들웨어 프로그램과의 통신에는 일반적으로DCE environments
RPC systems
Object Request Brokers (ORBs)
Database access systems
Message Passing
메시지 대기열(message queueing)이 연결매개체로 사용된다.
그리고 얼마전 우리나라의 카이스트교수가 티맥스라고 하는 미들웨어를
자체기술로 개발했었다.
이러한 미들웨어의 종류로 C/S환경의 티맥스나 BEA사의 턱시도 등이 있고
웹기반으로 분산객체지향을 적용한 BEA사의 웹로직과 IBM의 웹스피어,
그리고 오라클사에서도 나오고 있다.
· 3계층 시스템 구현용 미들웨어
1) 비 TP-Monitor 계열의 미들웨어
① Entera, Forte등과 같은 소프트웨어가 TP-Monitor 계열이 아닌
미들웨어이다.
② 이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계층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지만,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를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2) TP-Monitor 계열의 미들웨어
① Tuxedo, Top-End, Encina, CICS등과 같은 소프트웨어가 TP-Monitor
계열의 미들웨어이다.
② 이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계층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규모 트랜잭션 처리가 가능한 미들웨어이다.
출처 : taejin93님의 블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