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_PE] Visual C++ 6.0은 무엇으로 만들었을까?
항상 궁금했었다. Visual C++ 6.0은 무엇으로 만들었을까...?
기계어로 만들었겠지...
이 글에서는 Stud_PE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제작 언어 알아내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Stud_PE파일 받으러 가기
100% 모두 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정도는 분석할 수 있습니다.
원래 이 프로그램 용도는 PE 분석기인데(PE;일명 실행파일, EXE)
프로그램의 크랙 방지를 위해 EXE파일에 락을 걸어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락의 종류를 파악하는데도 사용합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특정 프로그램이 어떤 언어로 작성되어있는지도
어느정도 엿 볼 수 있습니다.

File - Open
[File] - [Open]을 눌러 분석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해봅니다.
Visual C++이 있는 폴더로 이동합니다.

MSDEV파일이 Visual C++ 실행파일이다.
MSDEV.EXE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버튼을 누르면PE파일이 쫘악 분석된 정보가 나옵니다.
그런데 뭐 저도 아직 나머지는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고
5번째 탭인 'Signature'이란 탭을 선택하면 어떤 언어로 제작되었는지 나옵니다.

Visual C++ 6.0으로 만들어졌다!
짠~ Microsoft Visual C++ 6.0으로 만들어졌다고 나옵니다.지금 제가 선택 한 것이 Microsoft Visual C++ 6.0이니... 아마 Visual C++ 5.0으로 만들어졌나봅니다.
(VB 실험 결과 Visual C++ 5.0이면 5.0이라고 나옵니다. 2007년 3월 2일 추가)
어쨌던 Visual C++은 결국 Visual C++로 제작된 것이었습니다.
이것 말고도 여러 실행 파일 해보면 어떤 언어로 만들어졌는지 나옵니다. 간혹 Not detected...란 메세지도
뜨긴 하지만요... ㅋ
그리고 이 프로그램은 크랙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EXE실행 파일에 크랙방지하기 위한 락을 풀기위해도
사용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실행파일이 ASPack등과 같은 락이 걸려있으면 저 분홍색 창에 'ASPack 버전'이 표시가 됩니다.
ASPack이라고 표시된다고 ASPack이란 언어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실행파일을 보호하기 위한 락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락을 풀면 그때 어떤 언어로 제작되었는지 나옵니다.
락 푸는 방법은 포털 사이트 검색창에 검색하시면 많이 나옵니다.
(사실 저도 잘 모르기 때문에 가르켜 드리고 싶어도... 가르쳐드릴 수가 없습니다. ^^;;;)
본 자료는 Stud_PE v 1.8, Microsoft Visual C++ 6.0으로 테스트 된 자료 입니다.